- 홈
- 막걸리 교실
- 식초
식초
우리나라는 고려시대 해동역사(1065) 에 식초가 음식만드는데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초가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부스럼이나 중풍을 치료하는데
이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. 그 후 고사촬요에 최초로 식초제조법이 기록되었으며 농가집성,음식디미방,색경에 미곡을 이용한 식초제조법이 기록되어 있다.
식초의 종류와 효능
만드는 방식(식품유형)에 따른 종류
- 필수아미노산이 많다.
- 미네랄이 많다.
- 재료의 약성분 및
파이토케미칼 다량함유 - 다양한 유기산과 향이 있다.
발효식품(식초)과 건강
식초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?
- 식초의 주성분인 초산이 소화.흡수를 도와 영양소가 피와 살이 되고 활동할수 있는 에너지원이 되도록 한다.
소화기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55%가 넘는다. 소화기의 에너지를 절약하여 다른곳에 사용하게 한다. - 식초성분의 하나인 구연산이 산소 이용률을 높여 육체적 정신적 피로물질인 젖산발생을 억제하고 중화시켜 체외로 배출시킨다.
에너지 효율을 높여 젊게 만든다. - 식초의 주성분인 초산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부신피질호로몬을 촉진한다.
스트레스해소를 돕는다.
식초의 음용방법과 활용
식후 음용하는 것이 소화에 도움을 준다.
- 물에 희석 음용법: 컵에 물(9):식초(1)정도를 넣어 희석해서 음용한다.
- 과일즙,발효액에 넣어서 음용한다.
- 주스나 샐러드의 소스로 활용 가능
- 기타 각종 음식에 재료별 식초를 넣어 응용하여 활용할수 있다
※주의점 공복이나 위가 약한 경우 음용은 금하며 특이체질 또한 음용을 금한다. 본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식초의 양을 가감하여 음용한다